유방 울혈
젖을 완전히 비우지 않아서 생긴다
출산 직후에는 젖의 양이 적지만 아이가 젖을 빨면서 하루 이틀 사이에 급격하게 양이 늘어난다. 이때 충분히 젖을 빨리지 않으면 유방에 젖이 고여서 꽉 찬 느낌이 들다가 더 심해지면 유방이 땡땡해지면서 심한 통증을 느낀다. 이때 유방은 공처럼 부풀면서 유두는 납작해지는데, 이를 유방 울혈(젖몸살)이라고 한다. 유방 울혈이 심해져서 젖을 제대로 먹이지 못하면 모유수유를 계속하기 힘들고, 고인 젖은 세균에 감염되기 쉽다. 오래 방치하면 유선염으로 발전할 수 있으므로 초기에 울혈을 풀어주어야 하는데, 가장 좋은 방법은 아이에게 젖을 충분히 빨리는 것이다. 대부분의 경우 통증을 참고 꾸준히 모유수유를 하기만 해도 수일 내에 좋아지므로 크게 걱정할 필요는 없다.
예방하려면 젖을 자주 먹이고 충분히 빨린다
젖이 팽팽하게 불어서 아이가 빨기 힘들어하면 손이나 유축기로 젖을 조금씩 짜서 유방의 압력을 낮춘 뒤에 젖을 물린다. 또 유륜 주변을 손가락으로 지그시 눌러서 아이가 입으로 쉽게 젖을 물 수 있게 도와준다. 이때 차가운 물수건으로 냉찜질을 하거나, 양배추 잎을 냉장고에 넣어 차갑게 한 후 유방에 붙이면 통증과 부기를 가라앉히는 데 도움이 된다.
(*양배추 잎은 젖을 말리는 효과도 있어 너무 오래 사용하면 모유량이 줄 수 있다. 젖양이 정상으로 돌아오고 통증이 가라앉으면 바로 그만둔다. 차가운 수건으로 찜질하는 것 역시 마찬가지)
유선염
유방이 박테리아에 감염된 것이다
유선염이란 유방이 박테리아나 곰팡이균에 감염된 상태를 말한다. 젖을 완전히 비우지 않은 것이 가장 큰 원인. 아이가 깨물거나 잘못된 수유 자세로 인해 유두에 상처가 나서 2차 세균 감염이 되기도 한다. 꽉 조이는 브래지어나 옷이 문제가 되는 경우도 있다. 유선이 압박을 받아 모유가 원활히 돌지 않으면서 유선이 막혀 염증이 생기는 것. 같은 이유로 엎드려 자는 자세도 원인이 될 수 있다. 젖을 매번 충분히 먹이거나 남으면 완전히 비우도록 짜내고, 수유 전후에는 따뜻한 물로 유방을 씻고, 사이즈가 넉넉한 옷을 입으며, 바로 눕거나 옆으로 누워 자는 등 생활 습관만 잘 들여도 충분히 예방할 수 있다. 엄마가 스트레스를 심하게 받거나 피곤할 때도 유선염에 걸릴 수 있다.
방치하면 아이가 젖을 거부한다
유선염에 걸리면 유방에 심한 통증을 느낀다. 유방 전체가 벌게지면서 화끈거리고 38.4℃ 이상의 고열이 나거나 독감이라도 걸린 듯 전신에 몸살 증세가 나타나기도 한다. 주로 출산 후 2~3주째 잘 걸리며 유방의 림프관에 염증이 생기면서 유방 피부 표면에 빨간 줄이 생긴다. 통증이 심하지 않더라도 아이가 모유수유를 거부한다면 산부인과나 소아청소년과 진료를 받아 유선염 여부를 확인한다. 유선염에 걸린 유방에서 분비되는 모유가 짠맛이 나서 아이가 거부할 수 있기 때문이다. 초기에 적절한 치료를 받지 않으면 아이가 계속 젖을 거부하게 되어 모유수유가 실패로 이어질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계속 방치하면 만성 질환으로 고착될 수 있다.
(*수유를 중단하면 젖이 고여서 오히려 증상이 악화되며, 유방 농양으로 진행되기 쉽다. 유방 농양은 국소적으로 고름이 생기는 병으로, 통증이 심하면 고름을 제거하는 수술을 해야한다)
유선염에 걸리면 젖을 더 자주 빨려야 한다
유선염에 걸렸다고 해서 모유수유를 중단해선 안 된다. 오히려 더 자주 빨려서 유방의 젖을 완전히 비우는 게 좋다. 통증이 심하면 아프지 않은 쪽 유방을 빨려 유관이나 유선이 막히는 것을 방지한다. 아픈 쪽 적이라도 아이에게 물리거나 유축기로 짜내어 젖이 남아 있지 않도록 하고, 무엇보다 엄마가 절대적으로 안정을 취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항생제를 먹어도 수유는 계속한다
유선염에 걸렸을 때는 반드시 항생제 치료를 받아야 하므로 의사의 처방이 꼭 필요하다. 이때 처방하는 항생제는 균을 효과적으로 치료하면서도 모유를 통해 아이에게 전달되어도 안전한 약이다. 따라서 엄마가 항생제를 복용한다고 해서 모유수유를 중단할 필요는 없다. 증세가 조금 나아졌다고 느끼더라도 임의로 항생제 복용을 중단하면 안 된다. 또다시 재발 할 위험이 높기 때문이다. 반드시 의사의 지시에 따르고 적어도 10~14일간은 치료를 받아야 한다.
(*수유하기 전 따뜻한 물수건으로 찜질을 하고, 평소 따뜻한 팩과 차가운 팩으로 번갈아가면서 찜질한다)
칸디다 감염
젖을 먹인 뒤에 통증이 있다면 칸디다 감염을 의심한다
칸디다 감염은 엄마의 유방이 곰팡이균에 감염된 것으로, 겉보기에는 별로 아파보이지 않지만 통증이 매우 심하다. 젖을 먹이기 전보다 먹인 후에 더욱 아픈데, 수유 후 몇 분에서 몇 시간 동안 유두가 타는 듯이 아프고 유두에서 등과 어깨로 뻗치는 듯한 통증이 나타나기도 한다. 이런 통증은 밤이 되면 더욱 심해진다. 칸디다감염이 생긴 유두는 겉에서 보기에 별다른 이상이 없는 경우가 많지만, 하얗게 변하거나 갈라지기도 하고 유두가 분홍색이나 자주색으로 변하기도 하며, 피부가 벗겨지는 경우도 있다.
3~5일간 항생제 연고를 바르면 치료할 수 있다
칸디다 감염은 최근에 항생제 치료를 받았거나, 아이에게 젖을 잘못 물려 유두에 상처가 났거나, 유축기를 잘못 사용했거나, 유방을 너무 자주 비누로 닦아 피부가 손상되었거나, 아이의 아구창을 치료하지 않고 방치한 경우에 생긴다. 항진균제 연고를 발라 치료해야 한다. 연고는 하루 4회 이상 수유한 후에 유방을 물로 헹구어 말린 뒤에 발라야 하며, 양쪽 유방 모두에 발라 번지는 것을 막는다. 다음번 수유 시에는 연고를 닦아내지 않고 젖을 먹여도 괜찮다. 약을 바르고 24~48시간 후부터 증상이 호전되지만 심한 경우 3~5일 정도 시일이 걸릴 수 있다.
아이도 함께 치료받아야 한다
엄마가 칸디다 감염에 걸리면 아이에겐 입에 바르는 물약을 처방해주는데, 수유를 한 뒤 면봉이나 거즈에 약을 적셔 입 안에 발라준다. 일상생활에서도 감염 요인을 최소화해야한다. 아이 입과 직접 접촉하는 노리개젖꼭지, 젖병, 브래지어도 매일 세척하고 20분 이상 삶아 소독한다. 젖을 먹인 후 매번 깨끗한 물로 유방을 헹구되 문질러서 닦지 말고 공기 중에 노출시켜 말린다. 또 엄마는 치료가 끝날 때까지 우유나 단 음식은 피하고 유산균 식품을 챙겨 먹는다. 칸디다 감염은 통증이 아주 심한데 비해 보기에는 멀쩡해 엄마 혼자서 고민하다가 젖을 끓는 것이 문제이다. 수일 내에 치료가 될 뿐 아니라 치료중에도 모유 수유를 할 수 있으므로, 감염이 의심되면 산부인과 전문의의 진료를 받고 꾸준히 치료받는다. 칸디다는 냉동해도 죽지 않으므로 감염이 의심되는 경우 젖을 짜서 보관해서는 안된다.
'임신 그리고 출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신생아 유문협착증 구토, 가능한 수술 (0) | 2022.07.20 |
---|---|
수유 트러블, 엄마와 아이를 위한 대처법 (0) | 2022.07.11 |
실패하지 않는 수유 팁 (0) | 2022.07.09 |
모유수유, 개월수에 맞는 섭취 (0) | 2022.07.05 |
모유수유? 다 아는 좋은점 (0) | 2022.07.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