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자연분만 과정 · 자궁구가 열리면 응급실이나 분만실로 옮깁니다. 자궁구가 열린 정도를 확인하고 최종적으로 입원을 결정합니다. 진통이나 출혈 등 응급상황에서는 응급실 또는 응급실이 딸린 분만실에서 내진을 받습니다. · 정맥주사를 맞게 됩니다. 분만 중 출혈이 있을 때 신속하게 수혈하거나 지혈제를 투여할 수 있도록 정맥 주사를 맞아 혈관을 미리 확보합니다. 진통이 미약해서 분만이 순조롭지 않을 때는 진통 촉진제를 투여해 진통을 유도하고, 분만 도중에는 물이나 음식을 섭취할 수 없으므로 산모가 탈진 상태에 빠지지 않도록 수액을 주사하기도 합니다. · 분만 감시 장치를 배에 부착합니다. 정맥 주사를 맞은 후 분만 감시 장치를 배에 부착합니다. 진통의 정도와 태아의 심장 박동 수를 그래프로 기록해서 태아가 건강한지, 진통은 순.. 2022. 5. 26. 자연분만 자연분만의 장점 감염 위험이 적습니다. 제왕절개는 전신마취를 해야 하는 대수술입니다. 과다 출혈과 장 협착증, 마취에 따른 합병증, 배변 기능 약화, 요로 감염 등의 가능성이 자연분만보다 평균 2배 이상 높습니다. 복강과 자궁이 모두 공기 중에 노출되고 의사가 손으로 복강 내부를 여러번 마지기 때문입니다. 출산 후 재입원하는 비율도 자연분만의 2배에 이릅니다. 산모의 사망률은 자연분만 0.01%, 제왕절개 분만 0.04%입니다. 회복이 빠릅니다. 자연분만한 산모를 분만 후 6~8시간 정도 지나면 평소처럼 걸을 수 있을 만큼 몸이 회복됩니다. 3일 후면 퇴원할 수 있고, 제왕절개로 아기를 낳은 산모에 비해 자궁 수축도 잘되고, 산후 출혈도 빨리 멈춥니다. 이에 반해 제왕절개한 산모는 전반적으로 회복이 더디.. 2022. 5. 26. 조산 예방하기 조산의 원인 태아의 기형 염색체 이상, 심장 이상 등 태아에게 선천적 기형이 있을 경우 대부분 임신 초기에 유산이 됩니다. 간혹 그렇지 않고 계속 자라다가임신 후기에 조산하기도 합니다. 임신부의 질환 임신부가 고혈압성 질환이나 심장병, 신장병, 당뇨병, 폐결핵, 폐렴 등의 지병을 앓고 있다면 태반이 제 기능을 발휘하지 못해 조기에 유산하거나 임신 후기에 이르러 조산할 위험이 높습니다. 태반의 이상 전치태반이나 태반조기박리로 인해 조산할 수 있습니다. 많은 양의 출혈이 일어나기 때문에 임신부나 태아 모두 위험합니다. 임신 초기에 태반 이상 진단을 받으며 곧바로 입원 치료를 받아야 합니다. 양수의 이상 양수의 양이 너무 많으면 양막이 압력을 견디지 못해 출산 예정일 이전에 양수가 터지기도 합니다. 이를 파수.. 2022. 5. 26. 임신 후기 응급상황 빨리 치료해야 하는 증상 조기 양막 파수 -> 빨리 병원에 가야합니다. 태아와 외부를 연결하는 길이 트이기 때문에 세균에 감염될 위험이 크게 됩니다. 드물지만 탯줄이 자궁 밖으로 나와 태아가 위험한 경우도 있으므로 양수가 터지면 씻지말고 즉시 병원에 가야 합니다. 태드나 타월을 대고 다리를 붙인 상태에서 허리를 약간 높이면 많은 양의 양수가 흘러나오는 것을 막을 수 있습니다. 차 안에서는 옆으로 비스듬히 누운 자세를 유지합니다. 특히 출산 예정일에 훨씬 못미처 양수가 터진 경우 그대로 분만이 진행되면 태아가 위험해질 수 있으므로 빨리 병원에 가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출혈 -> 피의 색깔이 선명하게 붉고 양이 많으면 위험합니다. 점액이 섞인 소량의 출혈이거나, 색이 옅고 양도 적으며 곧 멈춘 경우라.. 2022. 5. 25. 이전 1 ··· 6 7 8 9 10 11 12 다음 반응형